요즘 비가 자주 옵니다.
오히려 조아!

비 올 때도 달리고
시원해서 오히려 좋아!
오늘은 에어컨도 없는 곳에서 4~5시간 현장 실측을 했습니다.

지쳤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즐거운 러닝을 하는 날.
다시 신발끈을 묶고 달리러 가면 서 이 분의 조언을 돼쇄겼습니다.
1. 꾸준함의 재정의: 완벽이 아닌 지속 가능한 태도
꾸준함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뒤엎으며, **"매일 똑같이 하는 건 꾸준함이 아니에요"**라고 단언합니다. 저자는 꾸준함을 "매일 똑같은 행동을 똑같이 유지하는 게 아니라 오랜 시간 그 행동을 계속해 나가는 태도"로 재정의합니다. 이는 육체적, 정신적 컨디션이 매일 같을 수 없다는 현실을 인정하고, 완벽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날도 꾸준함의 과정으로 포용하는 유연한 접근 방식을 강조합니다.
핵심 아이디어: 꾸준함은 '양'이나 '완벽함'보다는 '지속성'과 '태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인용문: "제가 생각하는 꾸준함이란 매일 똑같은 행동을 똑같이 유지하는게 아니라 오랜 시간 그 행동을 계속해 나가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2. 꾸준함의 비결 1: '빼먹은 날도 인정해 주기' – 불완전함의 수용
저자는 꾸준함의 첫 번째 비결로 '빼먹은 날도 인정해 주기'를 꼽습니다. 이는 '꾸준함을 유지하려면 꾸준하지 않아야 한다'는 역설적인 표현으로 설명됩니다. 플랭 앱의 '보호막' 기능을 예시로 들며, 컨디션이 좋지 않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날에도 학습 현황을 확인하는 등 최소한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는 완벽하게 하지 못했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속 이어나가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핵심 아이디어: 완벽하게 해내지 못하는 날에도 포기하지 않고, 그 불완전함을 꾸준함의 과정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인용문: "꾸준함을 유지하려면 꾸준하지 않아야 해요. 이 말이 모순처럼 들리나요 하지만 모순이 아닙니다."
인용문: "오늘 하루 빼먹었지만 내일 다시 해 나간다면 그래서 장기적으로는 계속 하고 있다면 그게 꾸준함 아닐까요?"
3. 꾸준함의 비결 2: '허들 낮추기' – 쉬운 시작으로 뇌를 속이기
두 번째 비결은 '허들 낮추기'입니다. 이는 루틴을 설계할 때 목표 자체를 극단적으로 낮춰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만드는 전략입니다. 달리기를 예로 들어, "매일 3kg 달리기"가 아닌 "운동복으로 갈아입고 집밖에 나가기"를 목표로 설정합니다. 이렇게 하면 목표 달성 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나는 매일 달리는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스스로에게 각인시켜 다음 행동으로 이어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저자는 이를 **"우리 뇌는 쉽게 속습니다. 나를 잘 이용하려면 내 뇌를 잘 속일 줄 알아야 해요"**라고 설명하며, '달성 루틴' 대신 '트리거 루틴'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핵심 아이디어: 루틴의 시작 장벽을 최소화하여 뇌가 성공을 인식하게 하고, 이를 통해 지속성을 유도한다.
인용문: "저는 루틴을 세울 때 항상 달성 루틴이 아니라 트리거 루틴을 설계합니다."
예시: "3kg 달리기가 아니라 운동복 입고 집밖에 나가기", "일기 쓰기가 아니라 일기장에 날짜 쓰기", "플랭앱 20분 하기가 아니라 플랭앱 실행하기"
4. 꾸준함의 비결 3: '80점짜리 나를 인정하기' – 장기적 관점과 자기 자비
이 비결은 완벽주의를 내려놓고 '80점짜리 나'를 인정하는 태도와 연결됩니다. 저자는 완벽하게 루틴을 유지하려다 한 번의 실패로 모든 것을 포기하는 것보다, 완벽하지 않더라도 계속 이어나가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이득이라고 말합니다. 이는 마치 '물컵' 그림 비유를 통해 설명되는데, 항상 가득 찬 물컵(완벽한 꾸준함)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물이 차고 빠지는 것을 반복하며 끊김 없이 유지되는 물컵(불완전한 꾸준함)이 진정한 꾸준함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핵심 아이디어: 자신의 능력치를 100% 발휘하기보다 80%만 보여주며 여유를 두는 것이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높인다. 이는 지쳤을 때를 대비한 비축분이며, 자기 자신과 타인에게 너그러워지는 기반이 된다.
인용문: "완벽하게 유지하다가 한번 실패해서 그만두는 것보다는 완벽하지 않아도 계속 하는게 장기적으로 나한테 더 이득이더라고요."
인용문: "그래서 저는 나의 능력이 100일 때 80만 보여 줄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와 함께, '시간축을 다르게 보는 연습'을 통해 현재의 불완전함이나 어려움을 장기적인 도약의 시간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합니다. 잠시 쉬어가는 시간을 '뒤처지는 것'이 아닌 '다음 기회를 잡을 힘을 비축하는 과정'으로 인식하는 자기 신뢰, 자기 확신, 자기 존중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핵심 아이디어: 현재의 불완전함을 넓은 시간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쉬어가는 시간을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지혜가 필요하다.
인용문: "나는 100점짜리인데 세상이 나를 80점짜리로만 봐서 아쉬운 마음 누구에게나 있을 거예요...그럴 때 우리는 시간축을 다르게 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인용문: "멀리 뛰고 싶을수록 도움기에 정성을 쏟아야죠."
5. 꾸준함의 비결 4 & 5: '해야 할 시간을 정해두기' & '최대한 아침에 해두기' – 환경 설정과 실행력
이 비결들은 꾸준함을 위한 구체적인 환경 설정과 실행 전략을 제시합니다. 꼭 아침이 아니더라도 제가 강조 하는 모든 약속에 우선하여 운동을 앞에 두기가 더 적합하다고 봅니다.
비결 4: 해야 할 시간을 정해두기: 꾸준한 행동을 위해서는 물리적인 시간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저자는 "해내는 힘은 시간에서 나옵니다. 시간이 없는데 어떻게 할 수 있겠어요?"라고 말하며, 루틴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하루 전체의 스케줄을 조정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비결 5: 최대한 아침에 해두기: 하루 중 예기치 못한 변수가 많으므로, 꼭 지키고 싶은 루틴은 아침 시간에 몰아서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조언합니다. 이는 외부 방해 요소가 적고 의지력이 높은 아침 시간을 활용하여 루틴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려는 전략입니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달리기는 저녁에 하는 예외)을 들며 유연성도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핵심 아이디어: 꾸준함을 위해서는 루틴을 위한 시간을 의식적으로 확보하고, 예상치 못한 변수를 줄이기 위해 아침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6. 결론: 꾸준한 사람의 본질과 자기 자비
저자는 꾸준한 사람은 "대단한 사람"이 아니라, "실수해도 다시 시작할 줄 아는 사람, 허들을 낮추고 쉽게 할 줄 아는 사람, 그리고 자신에게 너그러운 사람"이라고 결론 내립니다. 이는 완벽주의적 압박에서 벗어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자신에게 자비를 베푸는 태도가 진정한 꾸준함을 가능하게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너무 지쳤다면 새로운 루틴을 만들기보다 쉬어가는 것이 꾸준함의 일부임을 강조하며, '틈틈이 잘 쉬는 것도 루틴'임을 상기시킵니다.
핵심 아이디어: 꾸준함은 완벽함이 아닌, 유연성, 자기 용서, 그리고 자기 자비를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노력이다.
인용문: "꾸준한 사람은 대단한 사람이 아니에요 실수해도 다시 시작할 줄 아는 사람 허드를 낮추고 쉽게 할 줄 아는 사람 그리고 자신에게 너그러운 사람입니다."
인용문: "꾸준히 틈틈히 잘 쉬는 것도 루틴입니다."
이 브리핑 문서는 "무엇이든 꾸준한 사람의 비밀"이 제시하는 꾸준함의 본질과 실천 방안을 명확히 제시합니다. 완벽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유연하고 자기 자비로운 태도로 꾸준함을 대하는 것이 장기적인 성공과 행복으로 이어진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핵심 용어 해설 (Glossary)
꾸준함 (꾸준히 계속하는 힘): 매일 똑같은 행동을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특정 행동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이어나가는 유연하고 지속적인 태도를 의미합니다.
루틴 (Routine): 매일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특정한 행동이나 습관을 지칭합니다. 이 글에서는 자기 계발이나 목표 달성을 위한 일상적인 습관으로 사용됩니다.
보호막 (Shield): '플랭' 앱의 기능 중 하나로, 학습을 못한 날에도 연속 학습 기록을 끊기지 않게 유지시켜 주는 장치입니다. 이는 루틴 유지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허들 낮추기 (Lowering the Hurdle): 목표 달성의 진입 장벽이나 시작 기준을 매우 낮게 설정하여, 어떤 날이든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만드는 전략입니다. 이를 통해 꾸준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달성 루틴 (Achievement Routine): 최종 목표의 달성 자체에 초점을 맞춘 루틴 설정 방식입니다 (예: 3kg 달리기). 이 글에서는 트리거 루틴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트리거 루틴 (Trigger Routine): 실제 목표 행동을 시작하기 위한 최소한의 '트리거(방아쇠)' 역할만 하는 루틴 설정 방식입니다 (예: 운동복 입고 집 밖에 나가기). 행동 시작의 부담을 줄여 꾸준함을 돕습니다.
80점짜리 나 인정하기 (Acknowledging the 80-point self): 자신의 능력치가 100%일 때 항상 120%를 보여주려 하기보다, 실제로는 80%만 보여주는 것을 받아들이고 여유를 가지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위한 자기 보호 전략입니다.
가짜 꾸준함 (Fake Consistency): 특정 순간에 완벽하게 채워진 상태만을 보여주는, 비현실적이고 지속 불가능한 꾸준함의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입니다. 마치 사진의 스냅샷처럼 순간적입니다.
자기 신뢰 (Self-Trust): 자신이 잠시 쉬어가더라도 뒤처지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자신의 완벽하지 않은 모습도 괜찮다는 자기 확신, 그리고 순간마다 빛나지 않아도 충분히 가치 있는 존재라는 자기 존중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시간 축 확장 (Expanding the Time Axis): 현재의 한계나 어려움에 갇히지 않고, 시야를 넓혀 5년, 10년과 같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재의 상황을 바라보는 연습을 의미합니다. 이는 쉬어가는 시간을 도약의 기회로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요즘에는 유튜브에서의 검색을 제일 많이 하고 있습니다만...
"꾸준함"이라고 입력을 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프로의 세계에서는 통하지 않을 이야기이지만...
일반적이라면 "꾸준함 최고의 가성비"라고 생각합니다.
출처의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aUhQdB2z0Wc
역시 결론은 달리기 잘했다... 행복하다...
'운동 > 슬로우러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8월 결산 러닝입니다. (0) | 2025.09.09 |
|---|---|
| 60살 생존 운동. 슬로우러닝 8월중간점검 (0) | 2025.08.22 |
| 뇌 과학으로 본 페이스 조절의 중요성: 도파민이 주는 짜릿함에 속지 마라 (13) | 2025.07.31 |
| 저속노화의 대명사 정희원 박사 아시죠?! (8) | 2025.07.30 |
| "나만 몰랐던 거야?" 달리기 중독이 부르는 '현재 행복'의 과학적 증거! 뇌 속 천연 마약 이야기 🤯💖 (4) | 2025.07.27 |